복지정보나눔터

청년취업 희망카드 눈에 띄게 달라졌네

기타 복지정보
- 지원대상 확대, 모바일 신청, 절차간소화, 환급절차 개선 등 -

□ 대전광역시는 21일 2018년 확 달라진 청년취업 희망카드 추진계획을 확정하고3월부터 시행한다고 밝혔다.
 
ㅇ 지난해부터 시행한 대전시 청년취업 희망카드는 비 수도권 최대규모(‘17년3,672명)로 지원하여 서울 경기와 함께 국내 청년지원정책을 선도하고 시행4개월만에 지원자 중 취・창업자가 120여명에 이르는 등 높은 정책 만족도를보이며 본 궤도에 진입하였으나,
 
ㅇ 맞춤형 홍보부족으로 당초 목표대비(6.000명) 신청(4,715명)이 적었으며, 신청절차, 사용불편을 호소하고 부정사용자가 발생하는 등 일부 미흡한 일이 발생하기도 하였다.

ㅇ 대전시 김용두 청년정책담당관은 이러한 불편사항을 해결하기 위해 희망카드사용자, 청년 등 워킹그룹을 구성하고 수차례 간담회를 열어 대학졸업 1년 이하의 재학생 및 휴학생까지 대상을 확대하고, 모바일 홈페이지를 구축, 사전에자격 해당여부를 진단할 수 있게 하였으며 또한 일부 증빙자료의 제출을 자체확인하는 등
  청년구직자의 신청 및 사용에 불편이 없도록 획기적으로 개선하고,  

 ㅇ 특히 3월부터는 대학을 방문, 학생들을 찾아 설명하고 홍보하고 연간 2회 성과분석을 통해 개선방안 마련과 참여자 네트워크 희망카드 반상회를 운영하여 성과분석과 사후관리에도 최선을 다하는 등 정책의 성공을 위해 공격적이고 적극적으로 활동하는 한해가 될 것이라고 각오를 밝혔다.

ㅇ지원대상
만 18세 ~ 34세 청년미취업자 중 구직활동자 5,000명
  * 우리시 6개월 이상 주민등록자 / 가구 중위소득 150%미만인 자

모집기간
‘18. 3월부터 상시모집, 매월 10일까지 신청

신청방
홈페이지(youthpassdaejeon.kr) 가입후 신청
  * 모바일 홈페이지 사전자격 진단시스템 구축 / 자격여부 확인가능
 
선정절차
신청서접수 → 서류심사 및 면접 → 지원대상 선정
* 모바일 홈페이지 사전자격 진단시스템 구축 / 자격여부 확인가능

지원내용
구직활동과 관련된 직, 간접비용
* 직접비 : 학원수강료, 교재구입, 시험응시, 면접비 등
* 간접비 : 교통비, 식비(1식 1만원, 월 15만원 한도) - 워킹그룹 제안반영
 
지원불가항
음주 등 유흥비, 레져비, 등록금, 공과금, 세금 등
* 운전면허 학원비, 소설,잡지 등, 당구장, 볼링장, 자산성 비품(pc 등)

카드발급 및 사용
관내 하나은행 발급(체크카드)
* 포인트배정 : 매월 1일 (1인당 30만포인트)
* 카드사용 : 카드사용 → 사용승인신청 (25일까지) → 심사승인(매월말일)→ 포인트 차감 및 환급